---
# 글로벌 증시 반등, 미 무역협상 기대 속 투자 심리 회복
세계 주요 증시가 최근의 급락세를 딛고 회복하는 모습이다. 지난 2020년 이후 최대 폭의 3일 하락 이후, 투자자들은 미국과 일본 간의 무역협상 움직임에 주목하며 위험자산에 다시 눈을 돌렸다. 8일(현지 시각) 뉴욕시장에서 S&P500 선물 지수는 2.3% 상승했고 나스닥 100 선물 지수는 2.1% 올랐다. 다우존스 선물 지수는 2.7%(1155포인트) 뛴 3만9320에 거래됐다. 특히, 엔비디아를 포함한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술 대형주들이 반등을 주도했다. 최근 3거래일 동안 19% 폭락했던 애플은 이날 프리마켓에서 약 1% 상승했다.
## 아시아 증시도 동반 회복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무려 6% 급등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본격 착수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과 홍콩 증시도 국유펀드의 개입과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 약속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일부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에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의 무역 관세 전면 철회 제안을 거절하고, 중국에 대해 추가 50%의 수입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해 긴장을 고조시켰다.
## 무역 긴장 완화 기대 속 불확실성은 여전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의 전략가 엘리어스 하다드는 “미국의 관세 위협과 이에 따른 보복 조치 가능성은 여전히 글로벌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블랙록은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하며 현 주가 반등이 일시적인 ‘사이클성 약세장’의 일부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 달러와 국채수익률의 중요성
미국 달러는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후 급락했다가 반등했다. 이는 주가가 급락하는 등 자산시장이 요동칠 때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이 몰리며 달러 가치가 올라갔던 과거 양상과 상반되는 것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국 달러 인덱스는 지난 2일 상호관세가 발표된 뒤 1.6% 급락했다가 지난 2거래일 동안 반등했다. 이에 대해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미국 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전망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시장의 향후 전망
파인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켈리는 “시장 반등은 일단락됐으며, 다음 국면은 관세 인하에 따른 상승이냐, 세계경제 둔화에 따른 하락이냐가 갈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미국 달러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 달러는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후 급락했다가 반등했다. 이는 주가가 급락하는 등 자산시장이 요동칠 때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이 몰리며 달러 가치가 올라갔던 과거 양상과 상반되는 것이다.
---